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전에서 길을 찾다19

도덕경으로 배우는 현대의 지혜 - 절제의 미학 (6편) 노자(老子)는 중국 고대 철학자 중에서도 가장 깊은 통찰을 남긴 인물 중 하나입니다.그의 사상을 담은 『도덕경(道德經)』은 단순한 철학서를 넘어, 자연과 인간의 삶, 욕망과 절제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는 책입니다. 도덕경 제9장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持而盈之,不如其已;揣而銳之,不可長保。」(지이영지, 불여기이 / 췌이예지, 불가장보)가득 채우려 하면 차라리 그만두는 것이 낫고, 너무 날카롭게 하면 오래 가지 못한다.(도덕경 제9장) 인간의 욕심은 정말 끝이 없는 것 같습니다.저도 그렇습니다. 이제는 다 내려놓고 욕심 없이 살아야지 다짐하면서도, 어느새 또 자꾸 욕심 부리고 있는 저를 발견하곤 해요. 욕심이 헛된 건 아닌데, 그걸 채우기 위해 나쁜 마음을 먹고, 나쁜 행동을 하게 되는 게 늘 문.. 2025. 4. 15.
도덕경으로 배우는 현대의 지혜 - 하지 않음의 힘, 무위(無爲)의 지혜 (5편) 진정한 변화와 성과는 억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직장생활 하면서 어느 정도 직급이 오르다 보면 팀장급 부하직원들과 대화할 일이 많아지죠.저는 그럴 때마다 이런 말을 자주 했습니다. “자꾸 뭔가를 새롭게만 하려고 하지 마.” 새로운 부서로 이동하거나 부서 내에서 새로운 업무를 맡게 되면 꼭 그런 팀장들이 있어요. 전임자가 해놓은 걸 모두 부정하고, 무조건 새롭게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말이죠. 물론 업무 개선을 위한 창의적 시도는 좋습니다. 하지만 꼭 ‘새롭게 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에요. 그들은 마치 새롭게 뭔가를 만들어야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했다고 착각하곤 하죠. 이건 단지 팀장급의 문제가 아닙니다. 조직의 최고 CEO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조직은 시스템으로 움직여야 하는데, 많은 CEO.. 2025. 4. 8.
도덕경으로 배우는 현대의 지혜 - 겸손함은 모든 것 위에 있다 (4편) 1. 낮아짐이 곧 높아짐이다📖 「不自見故明(부자견고명), 不自是故彰(부자시고창), 不自伐故有功(부자벌고유공), 不自矜故長(부자긍고장)。」스스로 드러내지 않기에 밝아지고, 스스로 옳다고 여기지 않기에 빛나며, 스스로 자랑하지 않기에 공이 있고, 스스로 교만하지 않기에 오래간다. (道德經 第22章) 겸손은 종종 오해받습니다. 약하고, 소극적이고, 자기주장이 없는 태도로요. 그러나 도덕경에서 말하는 겸손은 그런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스스로를 낮출 수 있는 사람만이 진정으로 위에 설 수 있다는 강한 메시지를 전합니다.📖 「江海所以能為百谷王者(강해소이능위백곡왕자), 以其善下之(이기선하지), 故能為百谷王(고능위백곡왕)。」강과 바다가 만물의 왕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스스로 낮은 곳에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만물.. 2025. 3. 29.
도덕경으로 배우는 현대의 지혜 -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 (3편) 도덕경으로 배우는 현대의 지혜 -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 (3편)1. 내면의 유연함이 마음의 강함을 만든다노자가 말한 부드러움은 단순히 타인과의 관계에만 해당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것은 자기 자신과의 관계에서 더 큰 위력을 발휘합니다. 마음이 유연한 사람은 상황에 따라 스스로를 조절하고, 실수나 실패 앞에서도 스스로를 용서할 줄 압니다.📌 예시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은 작은 실수에도 자책하며 자신을 몰아붙입니다. 반면 유연한 사람은 실패를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다음 기회로 전환할 줄 압니다.감정적으로 유연한 사람은 분노, 슬픔, 실망 같은 감정을 억누르기보다는 자연스럽게 흘려보내며 회복 속도도 빠릅니다.👉 즉, 내면의 부드러움은 자기 자신을 대하는 태도에서 시작되며, 이는 결국 강인한 마음을 .. 2025. 3. 23.
도덕경으로 배우는 현대의 지혜 -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 (2편) 첫 번째 편 요약이전 글에서는 노자의 도덕경 78장에서 말하는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는 가르침을 소개하며, 물의 유연함과 인내가 결국 단단한 바위를 깎아내는 비유를 통해 부드러움의 힘을 설명했습니다. 또한, 조직과 인간관계에서의 유연함, 변화에 대한 적응력 등 현대 사회에서 이 원리를 적용할 수 있는 사례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드러움'의 또 다른 의미를 탐구하고 보다 구체적인 실천 방법을 제시하며, 더 깊이 있는 현대적 적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1. 부드러움은 단순한 약함이 아니다우리는 흔히 ‘부드러움’을 ‘약함’으로 오해합니다. 하지만 도덕경에서 말하는 부드러움은 단순히 힘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상황에 맞춰 변화하고, 갈등을 최소화하면서도 목표를 이루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예.. 2025. 3. 20.
도덕경으로 배우는 현대의 지혜 -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1편) 도덕경으로 배우는 현대의 지혜 -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도덕경(道德經)이란?도덕경은 중국 고대 사상가 노자(老子)가 저술한 철학서로, 총 81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책은 '도(道)'와 '덕(德)'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자연의 이치와 삶의 본질을 설명하며 유연함과 무위(無爲, 억지로 행하지 않음)의 철학을 강조합니다. 도덕경은 단순한 철학서가 아니라 오늘날에도 인간관계, 리더십, 조직 운영, 삶의 태도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지혜를 담고 있습니다.노자(老子)는 누구인가?노자는 기원전 6세기경 춘추시대의 사상가로 도가(道家) 철학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공자의 동시대 인물로 추정되며, 인위적인 질서보다 자연의 섭리에 따르는 삶을 강조했습니다. 노자의 가르침은 억지로 무언가를 이루려 하.. 2025. 3. 18.
반응형